청년층(15~29세) 취업자 100명 중 77명은 전공과 무관한 분야에서 첫 직장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같은 '전공과 취업의 불일치' 현상은 청년 실업의 장기화와 맞물려 갈수록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4일 통계청·한국고용정보원 등에 따르면, 고교(특성화 고교) 또는 대학 시절 전공과 무관한 분야에서 첫 직장을 구한 청년 취업자 비율은 2001년 이전 평균 72.8%에서 2010∼2011년 77.1%로 4.3%포인트가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전공과 취업 간의 이같은 불일치 비율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증가율이 더 가팔랐다.
남성은 2001년 이전 71.0%에서 2010∼2011년 74.5%로 3.5%포인트 상승한 데 비해, 여성의 경우 73.4%에서 79.1%로 5.7%포인트가 올라갔다.
이같은 전공과 취업간의 괴리는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비율이 더욱 커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2010∼2011년 고졸 취업자의 불일치 비율이 68.2%로 나타난 데 비해 전문대와 4년제 대학 졸업자에서는 각각 78.1%, 80.7%로 더 높았다.
특히 청년실업의 장기화에 따라 전공이나 적성에 맞는 일자리를 찾는 것이 어렵다 보니 자신의 '눈높이'를 낮추고 '일단 취업부터 하고 보자'는 이른바 '하향 취업' 심리가 짙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하향 취업 비율은 2001년 이전 16.7%에서 2006∼2007년 17.4%, 2010∼2011년 17.7%로 높아졌다.
이같은 하향 취업 경향에도 불구하고 일자리의 질이 점점 떨어지고 있어 더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첫 직장이 정규직인 경우는 79.0%에서 61.7%로 17.3%포인트가 급락한 반면 임시직 비율은 18.5%에서 29.7%로 11.2%포인트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이 어렵자 기업체 입사 뜻을 접고 일찌감치 자영업에 뛰어드는 비율도 1.1%에서 3.4%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청년층 고용률은 40.4%로 전체 고용률(59.4%) 수준을 크게 밑돌고 있다.
청년 고용률은 2005년 44.9%, 2007년 42.6%, 2009년 40.5%, 2011년 40.5%로 해마다 내리막 길을 걷고 있는 상황이다.
또 지난해 전체 일자리가 43만7000개 늘어나는 동안 청년층 일자리는 되레 3만 6000개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데일리노컷뉴스 송강섭 기자 |